수표조회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은행의 지급보증이 되어 있는 경우에 현금보다 많은 금액을 지급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수표를 이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주로 사용해보셨던 현금과는 다르게 수표는 주의해야할 점이 두가지가 있는데요. 바로 위조와 부도가 그것입니다. 먼저 부도를 알아보자면 지급보증으로 발급을 받을때에는 정상적으로 사용이 가능했을지는 모르나, 시간이 지나 보증되어있던 개인이 부도가 나거나 신용에 문제가 생기면 지급받아놓았던 수표의 이용이 불가능한 종이쪼가리로 변신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표를 받으실때에는 수표조회를 통해서 정상적으로 이용이 가능한지의 대한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보셔야 합니다.
두번째로 주의하셔야할 점은 위조 여부 입니다. 마찬가지로 수표에 대해서 접해본적이 적으신분들은 위변조를 감별하는법을 잘 숙지하지 못하시기 때문에 주의하셔야 합니다. 이또한 마찬가지로 수표조회 방법으로 정상인지 쉽게 확인이 가능합니다. 위조 수표를 감별하는 방법도 작성해보았으니 꼭 기억해두시고 바로 이용해보세요.
모든 은행사이트에서는 수표조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본인에게 편리한 은행사를 이용하시면 되는데, 그 중에서 국민은행에서는 로그인을 진행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조회가 가능한 장점이 있어서 KB국민이용을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처음 조회를 통해서 수표조회로 위조여부를 판별하실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홈페이지로 들어가주신 후에 (https://www.kbstar.com/) 아래의 메뉴중 빠른조회란을 클릭해주세요.
자기앞 / 어음수표사고신고조회 란을 이용하시면 됩니다. 주의하셔야하는 것은 국민은행 및 다른 은행의 수표조회가 모두 가능하지만 농협중앙회 및 단위농협의 수표는 조회가 불가능합니다. 농협수표시라면 농협은행을 이용해주세요. 또한 조회를 위해서 수표번호란을 기입하여야 하기 때문에 훼손되지 않아 인식이 가능한 상태이셔야 합니다.
상단에는 수표모양을 보시고 번호에 맞춰서 기입해주시면 됩니다. 수표번호와 종류, 금액, 발행일, 발행점번호, 발행은행명을 입력해주시고 조회의뢰인 성명과 전화번호를 넣어주신후 조회를 해주세요. 만약 정상적인 수표조회가 이루어지지 않고 오류메세지가 나온다면 수표 위조여부를 의심해보셔야 합니다.
위조 수표조회 직접 확인하는 방법
1. 수표를 먼저 빛에 비춰보세요. 중앙에 있는 무궁화가 3개가 보이신다면 정상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수표입니다. 이는 실화페와 동일한 감별지표로써 복사기로 복제가 불가능한 고유의 표시입니다.
2. 수표 오른쪽 3개의 네모칸에 흰색 물음표가 있다면 위조수표입니다. 실제 수표에서는 물음표가 존재하지 않으며 복사를 했을 경우에만 물음표표시가 보여지게 된다고 합니다.
3. 위조수표의 경우에는 일련번호가 모두 동일한 경우가 많다고 하니 받으신 수표들을 확인하신 후 각 일련번호를 확인해주세요. 복사여부를 쉽게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위조가 아니라고 판별이 되더라도 은행에서 지급할 수 없는 부도종이일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Knote 어음정보센터의 사고조회란을 이용하시면 됩니다.(https://www.knote.kr/) 부가서비스 > 자기압수표사고조회로 접속해주세요.
마찬가지로 권종에 기입되어진 번호등을 모두 정확하게 기입하신 후 조회를 하시면 부도여부를 쉽게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좌측의 카테고리에서는 약속어음이나 당좌수표, 가계수표의 여부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이 경우에는 지급은행과 종류, 번호만 기입하면 되기 때문에 보다 빠른 조회를 해보실 수 있습니다.
PC이용이 어려운분이시라면 핸드폰으로도 수표조회를 쉽게 해보실 수 있습니다. 가장 쉬운 방법은 은행의 고객센터전화를 걸으신 후 권종번호를 기입하시거나 상담원에게 알려주시면 바로 조회하여 사용가능여부를 알려주게 됩니다. 혹은 각은행어플리케이션에서도 수표조회 서비스를 지원해주고 있으니 기종에 관계없이 어디서든 확인해보세요.
글을 마치면서 한가지 당부드리고 싶은 점은 수표를 주고받을때 수표제시인의 인적사항을 뒷란에 직접 작성받는게 중요하다고 합니다. 현금이 아닌 수표는 신용보증으로 위험성이 생길 수 있다라는 것을 항상 인지하시고 계약을 끝내기전에 진위여부를 먼저 조회해보시는 것도 추천드립니다.